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와 생활/생활

금액 숫자를 한글이나 한자 갖은자 변환 표기법

728x90
반응형
 

금액 숫자를 한자로 표기 방법 || 자동 변환기

숫자 입력 :  
숫자는 무량대수(無量大數) 72자리 까지 변환 가능합니다.
숫자 4(肆), 6(陸), 7(柒/漆), 8(捌), 9(玖), 100(佰/陌)은 갖은자로 잘 쓰지 않습니다.
→ 숫   자 : 123,456,789 (글자 수 : 9자리)
→ 한글 1:1 매칭 : 일이삼사오육칠팔구
→ 한   글 :  이천삼백사십오 육천칠백팔십구
→ 한자 1:1 매칭 : 一二三四五六七八九
→ 한   자 :  二千三百四十五 六千七百八十九
→ 갖은자 1:1 매칭 : 壹貳參肆伍陸柒捌玖
→ 갖은자 : 亿 貳阡(仟)參伯肆拾(什)伍萬(万) 陸阡(仟)柒伯捌拾(什)玖
→ 금액 갖은자 : 一金亿 貳阡(仟)參伯肆拾(什)伍萬(万) 陸阡(仟)柒伯捌拾(什)玖원整
※ 업데이트 예정 : 일본어 숫자, 중국어 숫자, 로마 숫자, 마야 숫자, 그리스 숫자, 이집트 숫자, 바빌로니아 숫자
 


https://bit.ly/3YLWJpK

123,456,789원 변환 금액, 아라비아 숫자 한자 한문 갖은자 변환 - 숫자와 갖은자 변환법 (대사자:大

123,456,789원 변환 금액, 아라비아 숫자 한자 한문 갖은자 변환 - 숫자와 갖은자 변환법 (대사자:大寫字) 표기법, 한자 숫자 쓰기

xn--vj1b09xs1b16ct2c.com






화폐 단위 금액 원 한자 표기법 / 쓰는법

중국의 화폐 단위는 元을 쓰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화폐 단위인 원은 한자 원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원(圓)은 1953년 화폐 개혁 이전에 쓰던 화폐 단위이며, 현재는 이 한자를 쓰지 않습니다.


갖은자란?

중국어로 대사자(大寫字)라고 하고, 보통 쓰는 한자(漢字) 보다 획을 더 많이 하여 모양과 구성이 전혀 다르게 된 한자.

돈의 금액, 액수등을 함부로 수정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많이 쓰입니다.

다음과 같이 ‘一, 二, 三, 四, 五, 十’을 ‘壹, 貳, 參, 肆, 伍, 拾’으로 원래의 한자보다 획을 많이 하여 쓰는 한자들을 말한다.

이 중 4, 6, 7, 8, 9, 100, 1000은 갖은자로 잘 쓰지 않는다.


한자로 나타낸 숫자. (漢字數字)

한어(漢語) 계통의 수사(數詞)를 가리키는 말로, 한국에서는 一(일), 壹(일), 二(이), 貳(이), 三(삼), 參(삼), 四(사), 五(오), 伍(오), 六(육), 七(칠), 八(팔), 九(구), 十(십), 拾(십), 百(백), 佰(백), 千(천), 仟(천), 阡(천), 萬(만), 万(만), 億(억), 兆(조) 등이 주로 쓰인다.

이밖에 京(경:1016), 垓(해:1020), 秭(자:1024), 穰(양:1028), 溝(구:1032), 澗(간:1036), 正(정:1040), 載(재:1044), 極(극:1048), 恒河沙(항하사:1052), 阿僧祇(아승기:1056), 那由他(나유타:1060), 不可思議(불가사의:1064), 無量大數(무량대수:1068)가 있다. 항하사(恒河沙)·아승기(阿僧祇)·나유타(那由他)·불가사의(不可思議)·무량대수(無量大數)는 각각 1056, 1064, 1072, 1080, 1088으로 보는 설도 있다.

소수(小數)의 단위는 한국에서는 10분의 1(10-1)은 할(割), 100분의 1(10-2)은 푼(分), 1000분의 1(10-3)은 리(厘), 10000분의 1(10-4)은 모(毛)로 표기하지만, 중국에서는 각각 分(푼:10-1), 厘(리:10-2), 毛(모:10-3), 絲(사:10-4)로 표기한다. 소수점 5자리 이하로는 忽(홀:10-5), 微(미:10-6), 纖(섬:10-7), 沙(사:10-8), 塵(진:10-9), 埃(애:10-10), 渺(묘:10-11), 漠(막:10-12), 模糊(모호:10-13), 逡巡(준순:10-14), 須臾(수유:10-15), 瞬息(순식:10-16), 彈指(탄지:10-17), 刹那(찰나:10-18), 六德(육덕:10-19), 虛空(허공:10-20), 淸淨(청정:10-21)으로 표기하는데,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