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문시기
- 가까운 친척·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하는 것이 좋다.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상의한다.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 있게 수행해 줘야 한다.
- 내용도 잘 모르면서 이일 저일에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영위에 분향 재배 한다.
-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성복이 끝나기를 기다린다. 상을 당한 직후에는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스스럼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입관을 마친 뒤에도 괜찮다. 그러나 현대에는 별로 괘념치 않고 돌아가신 직후 조문 하여도 무방하다.
조문 시 옷차림
남성 조문객의 옷차림
- 현대의 장례예절에서는 검은색 양복이 원칙이다.
- 검은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은색으로 한다.
여성 조문객의 옷차림
- 검은색 상의에 검은색 스커트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 주름치마는 폭이 넓어서 앉아도 신경이 쓰이지 않아 편리하다.
- 검은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은색 스타킹이 좋다.
-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은색으로 통일시킨다.
-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문 시 삼가해야 할 일
- 유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장의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주기 때문이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은 실례이다.

조문순서
1. 장례식장 입구 방명록 작성
장례식장 입구에 들어서면, 결혼식때와 마찬가지로 방명록(부의록)을 작성하는 곳이 있습니다. 방명록 작성 뒤 부조 봉투를 넣는데, 부조봉투에 결혼식 때처럼 쓰는 것이 아니라, 봉투의 뒷면 좌측 하단에 적어야 합니다. 만약 가자마자 정신이 없어 부의금을 못냈다면, 식을 참여 한 뒤에 마지막에 내도 상관은 없습니다.
2. 헌화 및 분향
고인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는 마음속으로 경건하게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고인인지라 목소리를 못 들으니, 헌화 또는 분향, 아니면 둘 다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헌화는 국화꽃을 들고 왼손으로 꽃을 받쳐 봉우리가 영정사진 쪽으로 향하게 한 뒤 헌화를 합니다.
분향은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 후 오른손으로 1개의 향을 들어 촛불에 붙인 후 향로에 꽃습니다. 불을 끌 때는 반드시 입이 아닌 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꺼야 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버릇처럼 입으로 불어서 끄게 되면 예의가 아니며, 그렇게 끌 경우에는 상주에게 죄송하다고 반드시 표현해야 합니다.
3. 절하기 또는 묵념
남자의 앉은 절
-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는다.(평상시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맞잡는다.
-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린다. (큰절의 경우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 맞잡은 손으로 땅을 짚고 꿇어앉는다.
- 이마를 손등에 대고 몸을 숙여 절한다. (큰절의 경우 평절에 비해 몸을 조금 더 숙이고, 절을 한 상태에서 조금 더 머문다.)
-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면서 일어난다.
-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약간 물러나면서 목례한다.(큰 절의 경우 같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같은 절을 한 번 더 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앉은 절을 하고 앉음으로써 절이 끝나는 것이다. 그러나 영전에서는 앉지 않고 그대로 물러난다. 조문의 경우에는 절을 마치고 서로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남자의 선 절
- 자세를 바로 하고 선다.
- 두 손을 양옆에 둔 채 몸을 30도 정도 굽힌다. (큰 경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숙이 숙인다)
- 자세를 바로 하고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여자의 앉은 절 (큰절)
-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고 선다.(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잡는다.)
-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 무릎을 꿇고 앉는다.
- 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 3, 2와 같이 일어선 다음 다시 3, 4, 3, 2, 1의 순서로 절한 다음 목례를 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평상시에는 다시 앉아야 하지만 영전에서는 그대로 물러난다.

여자의 앉은 절 (평절)
- 공손한 자세에서 두 손을 자연스럽게 양옆에 둔다.
- 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
- 허리를 20도 정도 굽히고 양손을 앞으로 향하여 바닥을 짚는다.(양손의 너비는 어깨너비로 한다.)
- 자세를 바로 하고 일어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다시 앉는다. 앉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여자의 선 절
- 손을 양 앞에 둔다.
- 양손을 앞으로 모으며 허리를 30도 정도 숙여 절을 한다. 큰 결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이 숙인다.
- 허리를 펴고 자세를 바로 한 다음 목례하고 물러난다.
일어나서는 허리를 숙여 반절을 한 후 마무리 합니다.
만약, 기독교, 불교 등 자신의 종교가 달라 절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묵념으로 대체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특성상 장례식장 종교 풍습이 내 종교의 행위와 다르더라도, 장례식장 풍습에 따르는 것이 예의입니다.
4. 상주에게 맞절
앞에서 분향 또는 헌화를 끝냈다면, 상주에게 돌아서 1번의 절을 합니다. 조문객보다 상주가 어리면 상주가 먼저 절을 하고, 문상객은 절을 마친 후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후 몸을 돌려 나옵니다. 조문 인사말을 건네는 것은 되도록이면 짧고 간결하게 하며, 최대한 정중한 태도와 말투로 인사를 건넵니다. 어떤 말도 그분들에게는 큰 위로가 안 되나, 짧은 말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혹은 "얼마나 상심이 크시겠어요"라고 짧게 말을 해줍니다.
그리고 식사하러 가시면 됩니다.

'재테크와 생활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음악 다운로드 및 유튜브 음악 무료 다운, 유튜브 비디오 무료다운 (0) | 2023.02.15 |
---|---|
조문시인사말, 조의 위로문자와 조의금 액수(부의금액) (0) | 2023.02.15 |
성년의날 선물 의미 및 성년의날 축하 인사말 14가지(성년의날 유래) (0) | 2023.02.14 |
환갑 칠순 팔순잔치 식순 진행순서 및 대본 자료 (0) | 2023.02.14 |
사랑의글과 사랑표현, 사랑의 명언 35가지 (0) | 2023.02.14 |